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정치부 이동은 기자 나와있습니다. 첫 번째 주제, '안 먹히는 윤미향 함구령'. 이해찬 민주당 대표가 윤미향 당선자를 옹호 하면서 당내 이견을 막기 위해 의원들 함구령을 내렸다는데 잘 안 먹히나보지요? <br> <br>네, 민주당 박용진 의원은 오늘 공개적으로 윤미향 당선자에게 해명을 요구했는데요. 박 의원은 함구령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 <br>[박용진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(윤미향 당선자가 이제 해명을 해야된다는 식으로 말씀하셨는데) "(이해찬 대표가) 함구하라잖아요. 예단을 하지 말라는 말과 정치인이 자신의 의견을 얘기하는건 다른 문제고." <br> <br>Q. 사실 함구령이라는게 권위적인 말이긴 하죠. 이해찬 대표는 계속 옹호하고 있지만, 당내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면서요? <br> <br>네, 민주당 지지층에서도 윤미향 당선자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<br><br> <br>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는 민주당 지지자 가운데 절반이 넘는 응답자가 '윤 당선자는 사퇴해야 한다'고 답했습니다.<br><br><br> <br>당원 게시판에도 "해당행위 이해찬·윤미향 제명", "이해찬은 도대체 왜 윤미향을 지지하나" 등 이해찬 대표를 비판하는 글이 올라오고 있습니다.<br> <br>Q. 글쎄요. 이해찬 대표 그동안 당 장약력 만큼은 대단하다 이런 평가였잖아요. <br> <br>네, 지난해 조국 사태 때 이해찬 대표의 장악력이 입증됐었죠. <br><br>당시 이 대표는 조 전 장관을 공개적으로 옹호하고 검찰의 수사 방식을 비판했었는데요. <br> <br>이후부터 금태섭 의원을 제외하고는 당내에서 조국 사태를 비판적으로 보는 목소리가 거의 나오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Q. 그런데 이번엔 왜 말이 잘 안 먹히는 겁니까? <br> <br>처지가 좀 바뀌었습니다. 이해찬 대표 임기가 오는 8월까지이고, 총선에 불출마했기 때문에 사실상 정계은퇴를 앞두고 있죠. <br> <br>조국 국면 때는 총선 공천을 앞두고 있었지만 지금은 선거가 끝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겁니다. <br> <br>또 조국 옹호는 검찰 개혁이라는 명분이라도 있었지만 이번에는 윤미향 당선자의 대척점에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서있다는 것도 다른 점입니다. <br><br><br> 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18대 0'. 오늘 하루 종일 국회가 이 문제로 시끄러웠어요. 상임위원장 18석을 민주당이 다 가져갈 수 있다. 이렇게 선전포고를 했죠? <br> <br>맞습니다. 민주당의 폭탄선언에 통합당은 단단히 화가 났습니다. <br> <br>[윤호중 /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] <br>"다수당이 국회 운영을 책임지기 위해서 의장과 상임위원장을 모두 맡는 것이 국회 운영의 기본 원칙이다." <br> <br>[주호영 / 미래통합당 원내대표] <br>"모든 상임위원장 다 가져갈 거면 의원도 다 가져가지. 힘으로 밀어붙여서 하려면 하라 그러십시오."<br> <br>상임위원장은 의석수에 비례해 여야가 나눠갖는게 관례인데 민주당이 다 가져가겠다고 한 겁니다. <br><br>Q. 민주당이 18개를 전부 차지할 수는 있는 건가보죠? <br> <br>법적으로는 그렇습니다. <br> <br>상임위원장은 본회의에서 표결을 통해 선출하는데 177석 민주당이 뭉치면 통합당은 당해낼 수가 없습니다. <br> <br>Q. 민주당이 이렇게 밀어붙이면 국회 파행은 불보듯 뻔할 텐데요. 민주당은 진짜 다 가져가려고 그러는 겁니까? <br> <br>법사위원장 자리를 가져오기 위한 압박 카드로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. <br> <br>법안이 통과되려면 반드시 법사위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권력 균형 차원에서 야당이 법사위원장을 맡아왔습니다. <br> <br>그러다보니 법사위에서 여야간 충돌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. <br><br><br><br><br>민주당이 법사위원장을 가져오거나 통합당에 주더라도 법사위 권한을 대폭 축소하기 위해서 선공을 했다는 분석이 많습니다. <br> <br>Q. 국회 시작도 전에 또 여야가 삐걱거리고 있는데요 내일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 오찬에서는 국민을 위해 생산적인 결과가 나오면 좋겠습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